잼라이브 수익구조는 어떻게 되어 있을까?

잼라이브 수익구조는 어떻게 되어 있을까?

스노우에서 만든 모바일 퀴즈어플 잼라이브의 수익구조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 많으시죠? 저도 친구들이랑 퀴즈를 풀면서 항상 잼라이브는 수익구조가 어떻게 되는 건지 궁금했었는데요. 꽤 오랫동안 여러 어플들을 써보면서 한번 분석해봤습니다.

퀴즈를 통한 제품 홍보

첫 번째는 퀴즈를 통한 제품 홍보입니다. 잼라이브는 한번 퀴즈쇼를 진행할 때 많게는 10만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동시접속을 합니다. 만약 이때 새로 개봉하는 영화를 퀴즈에 내놓는다면 어떨까요? 그 자체로 홍보효과가 크겠죠? 비단 영화뿐만 아니라 다른 제품들에도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최근 문제를 풀면서 '이거 홍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더라구요. 하지만 어디까지나 추축일 뿐입니다.

잼라이브 광고

어플 내 CPI 광고

잼라이브에선 보지 못했지만, 더 퀴즈 라이브에서 최근에 하고 있는 광고입니다. 메뉴에 어플 CPI 광고를 넣었더라구요. 구글 애드몹 같은 광고를 넣는다면 꽤 많은 수익을 낼 수 있을 것입니다. 앞으로 잼라이브도 이런 광고를 넣을지는 아직 모르겠습니다.

잼라이브 하트

하트 판매 비용

퀴즈에서 탈락하면, 하나의 하트를 사용하고 회생의 기회가 주어집니다. 이 하나의 하트로 인해 상금을 받을 수도 있으니 더없이 소중하겠죠? 그래서 모바일게임처럼 하트를 과금요소로 넣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것 또한 아직 시행되지는 않고 있습니다.

1 ··· 6 7 8 9 10 11 12 ··· 71